분류 전체보기 (40) 썸네일형 리스트형 Docker 권한 문제 해결 하기 root 권한이 아닌 상태로 docker 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권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docker ps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Get "http://%2Fvar%2Frun%2Fdocker.sock/v1.24/containers/json": dial unix /var/run/docker.sock: connect: permission denied 아래와 같이 권한을 주면 sudo 없이 명령어 실행이 가능하다. 0) 기본적으로 docker group 이 존재하지만, 없다면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 sudo groupadd docker 1.. Jenkins 오래된 Job 빌드 히스토리 제거 호스팅 중인 가상서버의 용량이 부족하여 정리할 수 있는 부분들을 찾게 되었다. 그 중 Jenkins 의 Build History 가 꽤나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Jenkins 를 cronjob 형태로 몇 년간 사용하다보니 꽤나 많은 데이터가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Job 당 약 30만개 이상의 빌드히스토리가 있었고, 히스토리당 수백Kb 의 로그가 남아있었다. (찾았다...) 한 번에 정리할 방법을 찾던 중, 아래와 같이 젠킨스 내에서 스크립트를 통해 일괄 정리가 가능하여 기록을 해두려 한다. # 스크립트 콘솔로 이동 - Jenkins -> Jenkins 관리 -> Script Console 로 이동한다. # 상황에 맞는 스크립트 활용 - 전체 또는 특정 아이템 의 빌드 히스토리를.. 머신러닝용 개인 PC를 맞추다 (라이젠 & RTX 3090 - Ubuntu) ChatGPT 와 같은 인공지능 서비스가 나오면서 Stable Diffusion 과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과 LLaMa, Alpaca 등 대규모 언어 모델을 통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정말로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는 느낌이다. 인텔 맥북을 쓰는 사용자로써는 그런 오픈소스를 돌려보는 것도 그림의 떡이라 간간히 Colab 으로 돌려보는 정도에 그쳤는데, 하다보니 조금은 욕심(?)이 생겨 자체적으로 구동을 돌릴 수 있는 홈서버를 간단하게(?) 구축해보기로 했다. 불을 지피게 된 계기는 KoAlpaca 를 보게 됨으로써 '나도 돌려볼 수 있겠다' 는 생각에.. 구성 무엇보다 VRAM(메모리 용량) 이 24G 인 그래픽카드가 필요했다. Colab 보다는 높은 VRAM 을 갖고 싶었고, 용량이 부족해서 실행을.. RTX3090 vs RTX4090 Stable Diffusion 성능 확인 관련된 주제로 실제 테스트를 진행한 benchmarks 결과가 있어 가져왔다. VRAM 이 낮으면, CUDA out of memory 가 발생하여 Stable Diffusion 을 활용해볼 수 조차 없다. RTX3060 12GB 으로 잠시 돌려봤을 때도 만족할 수준이었는데, 역시 성능이 올라갈 수록 성능은 극대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RTX4090 이 아른아른거려서 잠시 기록으로.. 출처 : https://www.tomshardware.com/news/stable-diffusion-gpu-benchmarks OpenAI API 사용하기 - 코드 첨부 ChatGPT 를 활용하는 서비스가 빠르게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모델을 직접 개발하기보단, API 를 활용하는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기사를 어딘가에서 본 듯 하다. 이미 블로그, 페이스북 페이지 등을 통해 ChatGPT OpenAI API 를 활용하는 사례들이 많이 올라오고 있고 개인적으로도 여러 아이디어를 고민중에 있어, 제일 기본이 되는 OpenAI 를 API 로 호출하는 방법을 정리해두려 한다. 아래 코드는 python 3.10, openai 0.27.2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import openai import json if __name__ == '__main__': # openai API 키 openai.api_key = '' # 질문 작성하기 query = 'ChatGPT 를 활용하는.. 1인 개발자가 게임을 개발한다면? - 계획 세우기 혼자 게임을 개발하려면 계획적인 접근 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개발 단계를 나누어서 계획을 세우면 작업을 조직화하고 전체적인 작업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게임 개발 단계는 다음과 같다. 아이디어 구상: 게임을 개발하기 전에 게임 아이디어를 구상한다. 게임 장르, 플랫폼, 목표 대상 등을 정해야 한다. 게임 디자인: 게임 디자인 단계에서는 게임 플레이의 모든 측면을 설계한다. 게임의 룰, 캐릭터, 아이템, 스테이지, 그래픽 등을 정한다. 개발: 게임 개발 단계에서는 게임을 실제로 개발한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그래밍, 그래픽 디자인, 음악 제작 등이 이루어진다. 테스트: 개발된 게임을 테스트하여 버그를 찾아 수정한다. 게임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작업도 이 단.. TensorFlow / PyTorch GPU 사용하여 병렬처리 하기 LSTM 을 사용하다보면 너무 느려서 답답할 때가 있다. 그래픽카드와 같은 GPU 를 사용하여 보다 빠르게 학습할 수 없는지 궁금하여 찾아보았다. LSTM 모델은 순차적인 연산이 필요하므로 CPU로 학습을 수행하면 매우 느릴 수 있다. 따라서 GPU를 사용하여 병렬적으로 연산을 수행하면 보다 빠른 속도로 학습을 완료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딥러닝 라이브러리인 TensorFlow 나 PyTorch 등에서 GPU를 사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GPU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야 한다. 적절한 NVIDIA GPU와 CUDA 툴킷을 설치하고, TensorFlow나 PyTorch 등의 라이브러리도 GPU 지원 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이후 아래와 같이 각각 사용하는 라이.. 1인 개발자, 먹고 살만 한가? - 2022년도 앱 운영 수익 공개 약 2년 전, 1인 개발자, 먹고 살만 한가? - 앱 운영 수익 공개 의 글을 쓴 적이 있다. 당시에 정말 위 제목과 같은 호기심으로 구글링을 했지만, 실제 수익을 공개 하는 곳이 없었고 온통 광고만 가득하여 글을 썼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기록을 남기게 되었고, 그로부터 약 2년이 지났다. 1년이 지난 줄 알았는데 2년이 지나있었다... 꾸준히 글을 게시하며 관리하는 블로그가 아님에도, 위 글을 보기 위한 방문자가 꽤 있었다. 그만큼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있다고 생각을 했고 해가 바뀌면 또 한 번의 기록을 남겨야 겠다고 생각했다. 2023년 1월 2일. 구글 개발자 콘솔 기준 한 해의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지표가 나오게 되었다. 약 510만원의 수익을 발생하던 앱은, 2022년 약 660만원으로 약 2.. 이전 1 2 3 4 5 다음